《사이와 차이》
2024.06.20~2024.07.27
· 전시소개
《사이와 차이 Between and Beyond》
2024.6.20.-7.27.
도암갤리리에서 개최하는 <사이와 차이>는 한국화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동시대 작가 11인이 참여한 그룹 기획전입니다. 전시 제목 ‘사이와 차이’는 각 작가와 작품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 안에서 유사성과 차이의 지점들을 발견해 보고자 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시각예술의 다변화와 장르 간 경계가 허물어진 현 상황에서 한국화 장르의 현재는 어떤 모습을 하고 있고, 또 어떤 조형적 대안과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을지 생각해 볼 수 있는 전시입니다. 서로 다른 표현기법과 주제의식을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다름과 차이를 규정하는 데서 결론짓고 마는 것이 아니라 그 너머의 가능성과 보다 확장된 이야기를 나눌 수 있기를 바랍니다. ☺
· 참여 작가 프로필
1. 구민지
전통 설화 속 상상의 존재를 소재로 작업하는 작가 구민지는 서울예술고등학교 졸업 후 이화여자대학교와 동대학원에서 동양화 전공으로 학위를 취득했다. 스페이스 유닛4(2023), 오솔갤러리(2024)에서 개인전을 열었으며 동양화 작가 그룹 오일일 소속으로 이화여자대학교 파빌리온(2022), 갤러리 COSO(2024) 기획전에 참여했다. GS건설 갤러리 시선(2023), 김해 레트로 봉황 기획전(2023), 서울생활문화센터 신도림(2024)의 프로젝트 및 단체전에 참여했다. 2024년 현재 문화철도 959 아트플랫폼 입주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구민지 작가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2. 구본아
수묵을 지지체로 삼아 한지 콜라주 방식을 보여주는 구본아 작가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졸업 및 동대학원 미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최근 보혜미안갤러리(2022), OCI미술관(2023), 인천아트플랫폼(2023) 등에서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전남수묵비엔날레(2023), 이천 시립 월전미술관(2023), 세종문화회관미술관(2022), 강릉아트센터(2022) 등에서 열린 단체전에 참여했다. 일본 도쿄 아트올림피아전(2019), 신진여성문화인상(2011)을 수상했으며 서울시립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 등 유수의 기관에서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 구본아 작가 홈페이지 바로가기
3. 김은지
환상적인 색채를 조합한 몽환적인 풍경으로 사랑의 언어를 전달하는 김은지 작가는 서울예술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이화여자대학교 및 동대학원에서 동양화 전공으로 학위를 취득했다. 광화문 교보생명빌딩(2022), 갤러리 지하(2022), 여의도 ifc빌딩(2023) 등에서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예강갤러리(2021), 배드보스 갤러리(2022), 롯데월드타워 다이버홀(2023), 성남아트센터(2023) 등에서 열린 단체전에 참여했다.
▶김은지 작가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4. 류은선
아이를 주제로 한 작업을 보여주는 류은선 작가는 서울대학교 및 동대학원에서 동양화 전공으로 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박사과정에 재학중이다. 수하담 아트스페이스(2020), 갤러리 도스(2021), CICA 미술관(2023) 등에서 개인전을 열었으며, 안산문화예술의전당 화랑미술관(2022),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2023), 엔버갤러리(2023), 서울시청 시민갤러리(2023), 성남큐브미술관(2023) 등에서 열린 단체전에 참여하였다. 제 40회 International TAKIFUJI Art Award를 수상했다.
▶ 류은선 작가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5. 문조현
작업을 통해 민속신앙과 오컬트가 사람들에게 믿음을 주는 방식과 더불어 산재한 갈등구조 및 해결방식을 탐구하는 작가 문조현은 2018년부터 현재까지 콜렉티브 MEMBERS Not MEMBERS 구성원으로 활동 중이다. 지구별 여행자(2016)에서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암웨이 갤러리(2016), 청담 갤러리 원(2016), 서교예술실험센터(2017), 육일봉(2018), 남양주시 별내동 946-2, 103호(2019), Osisun/White noise(2020)에서 열린 단체전에 참여하였다.
6. 성소민
목재 위에 이미지를 새기는 행위를 반복함으로써 시간의 흔적을 남기는 성소민 작가는 서울대학교 및 동대학원에서 동양화 전공으로 학위를 취득했으며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우석갤러리(2023), 금산갤러리(2020)에서 개인전을 열었으며 금산갤러리(2023,) 엔버갤러리(2023), 우석갤러리(2022), 서울대학교(2020) 등에서 개최한 단체전에 참여했다. AI 인공지능학습 데이터 구축사업 ‘PROTO 수묵 채색 with AI’(2023), ‘미술 비전공자를 위한 가상전시 제작 교육 콘텐츠 연구(2022) 등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 성소민 작가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7. 이대용
전통 동양화의 수묵화 기법과 구도를 보여주는 작가 이대용은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했으며 동방대학원대학 서화심미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한국 신묵회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최근 5년 사이 서울, 경기, 인천 등에서 5회의 개인전을 개최했다. 《한국 현대미술의 진단과 제언》(서울), 《한국 신묵회 대만 원묵화회 정기 교류전》(서울, 타이페이), 《용동묵호 국제 당대 교류전》(대만)에 참여했으며 그 외 서울, 대만, 중국 등에서 열린 단체전 약 300여회에 참여하였다.
8. 이승은
사람의 고유한 존재가치를 일깨우는 자연의 질서를 작품에 담아내는 이승은 작가는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및 동대학원에서 동양화 전공 학사,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우석갤러리(2023), 갤러리 도스(2021)에서 개인전을 열었으며, 지아가가갤러리(2024), 분당서울대학교병원(2023), 한전아트센터갤러리(2023), 보름산미술관(2021) 등에서 개최한 단체전에 참여했다. 2022년 서울문화재단x도미노피자 주최 시각예술 신진작가 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 이승은 작가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9. 정서원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 사이의 균형을 찾기 위해 일종의 ‘경계 공간’을 탐구하는 정서원 작가는 추계예술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를 졸업했으며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서 동양화과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박사과정에 재학중이다. 갤러리 부연(2021), 갤러리 아리아(2021)에서 개인전을 열었으며 금산갤러리(2022), 레이프로젝트(2022), 갤러리 가비(2022), 서울대학교 관악사(2021) 등에서 열린 단체전에 참여하였다. 2021년 제 2회 INSAF 평론가상을 수상했다.
▶ 정서원 작가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10. 조해리
전통 소리를 시각 이미지로 환원하는 작업 방식을 보여주는 조해리 작가는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학사과정 졸업 후 Chelsea College of Art and Design (U.K.)에서 MA Fine Art 석사과정을 졸업했으며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전공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갤러리 도스(2023), 아트스페이스퀄리아(2022) 등 총 16회의 개인전을 열었으며 국내외에서 개최된 80여회 단체전에 참여하였다. 2016년, 2017년에 ‘코카-콜라’ 한정판 패키지 디자인에 작품이 활용되었으며 2022년 제13회 겸재정선미술관 겸재 내일의 작가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 조해리 작가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11. 주낙준
작가로서 가장 근원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변화무쌍한 자연의 형상에서 찾아내 이를 보여주는 작가 주낙준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학사, 석사 과정 졸업 후 현재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갤러리 도스(2021), 복합문화공간 포레리움(2023)에서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GS건설 갤러리 시선(2024) 공모에 당선되어 2인전을 개최했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2019), 영아트갤러리(2022), 아트스페이스 퀄리아(2023), 한벽원갤러리(2023), 종로문화재단 상촌재(2023), 한전아트센터(2023) 등에서 열린 단체전에 참여하였다. 2023년 서리풀 ART for ART대상전에서 입선했다.
· 관람안내
: 화-토 10am-6pm (일, 월, 공휴일 휴관)
: 무료관람
: 서울아트센터 3층 도암갤러리
전시전경
©2024 사이와 차이, 도암갤러리(photo by Ahina Archive 정효섭)
©2024 사이와 차이, 도암갤러리(photo by Ahina Archive 정효섭)
©2024 사이와 차이, 도암갤러리(photo by Ahina Archive 정효섭)
©2024 사이와 차이, 도암갤러리(photo by Ahina Archive 정효섭)
©2024 사이와 차이, 도암갤러리(photo by Ahina Archive 정효섭)
©2024 사이와 차이, 도암갤러리(photo by Ahina Archive 정효섭)
©2024 사이와 차이, 도암갤러리(photo by Ahina Archive 정효섭)
프라이빗 행사
《사이와 차이》
2024.06.20~2024.07.27
· 전시소개
《사이와 차이 Between and Beyond》
2024.6.20.-7.27.
도암갤리리에서 개최하는 <사이와 차이>는 한국화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동시대 작가 11인이 참여한 그룹 기획전입니다. 전시 제목 ‘사이와 차이’는 각 작가와 작품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 안에서 유사성과 차이의 지점들을 발견해 보고자 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시각예술의 다변화와 장르 간 경계가 허물어진 현 상황에서 한국화 장르의 현재는 어떤 모습을 하고 있고, 또 어떤 조형적 대안과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을지 생각해 볼 수 있는 전시입니다. 서로 다른 표현기법과 주제의식을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다름과 차이를 규정하는 데서 결론짓고 마는 것이 아니라 그 너머의 가능성과 보다 확장된 이야기를 나눌 수 있기를 바랍니다. ☺
· 참여 작가 프로필
1. 구민지
전통 설화 속 상상의 존재를 소재로 작업하는 작가 구민지는 서울예술고등학교 졸업 후 이화여자대학교와 동대학원에서 동양화 전공으로 학위를 취득했다. 스페이스 유닛4(2023), 오솔갤러리(2024)에서 개인전을 열었으며 동양화 작가 그룹 오일일 소속으로 이화여자대학교 파빌리온(2022), 갤러리 COSO(2024) 기획전에 참여했다. GS건설 갤러리 시선(2023), 김해 레트로 봉황 기획전(2023), 서울생활문화센터 신도림(2024)의 프로젝트 및 단체전에 참여했다. 2024년 현재 문화철도 959 아트플랫폼 입주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구민지 작가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2. 구본아
수묵을 지지체로 삼아 한지 콜라주 방식을 보여주는 구본아 작가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졸업 및 동대학원 미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최근 보혜미안갤러리(2022), OCI미술관(2023), 인천아트플랫폼(2023) 등에서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전남수묵비엔날레(2023), 이천 시립 월전미술관(2023), 세종문화회관미술관(2022), 강릉아트센터(2022) 등에서 열린 단체전에 참여했다. 일본 도쿄 아트올림피아전(2019), 신진여성문화인상(2011)을 수상했으며 서울시립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 등 유수의 기관에서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 구본아 작가 홈페이지 바로가기
3. 김은지
환상적인 색채를 조합한 몽환적인 풍경으로 사랑의 언어를 전달하는 김은지 작가는 서울예술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이화여자대학교 및 동대학원에서 동양화 전공으로 학위를 취득했다. 광화문 교보생명빌딩(2022), 갤러리 지하(2022), 여의도 ifc빌딩(2023) 등에서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예강갤러리(2021), 배드보스 갤러리(2022), 롯데월드타워 다이버홀(2023), 성남아트센터(2023) 등에서 열린 단체전에 참여했다.
▶김은지 작가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4. 류은선
아이를 주제로 한 작업을 보여주는 류은선 작가는 서울대학교 및 동대학원에서 동양화 전공으로 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박사과정에 재학중이다. 수하담 아트스페이스(2020), 갤러리 도스(2021), CICA 미술관(2023) 등에서 개인전을 열었으며, 안산문화예술의전당 화랑미술관(2022),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2023), 엔버갤러리(2023), 서울시청 시민갤러리(2023), 성남큐브미술관(2023) 등에서 열린 단체전에 참여하였다. 제 40회 International TAKIFUJI Art Award를 수상했다.
▶ 류은선 작가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5. 문조현
작업을 통해 민속신앙과 오컬트가 사람들에게 믿음을 주는 방식과 더불어 산재한 갈등구조 및 해결방식을 탐구하는 작가 문조현은 2018년부터 현재까지 콜렉티브 MEMBERS Not MEMBERS 구성원으로 활동 중이다. 지구별 여행자(2016)에서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암웨이 갤러리(2016), 청담 갤러리 원(2016), 서교예술실험센터(2017), 육일봉(2018), 남양주시 별내동 946-2, 103호(2019), Osisun/White noise(2020)에서 열린 단체전에 참여하였다.
6. 성소민
목재 위에 이미지를 새기는 행위를 반복함으로써 시간의 흔적을 남기는 성소민 작가는 서울대학교 및 동대학원에서 동양화 전공으로 학위를 취득했으며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우석갤러리(2023), 금산갤러리(2020)에서 개인전을 열었으며 금산갤러리(2023,) 엔버갤러리(2023), 우석갤러리(2022), 서울대학교(2020) 등에서 개최한 단체전에 참여했다. AI 인공지능학습 데이터 구축사업 ‘PROTO 수묵 채색 with AI’(2023), ‘미술 비전공자를 위한 가상전시 제작 교육 콘텐츠 연구(2022) 등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 성소민 작가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7. 이대용
전통 동양화의 수묵화 기법과 구도를 보여주는 작가 이대용은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했으며 동방대학원대학 서화심미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한국 신묵회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최근 5년 사이 서울, 경기, 인천 등에서 5회의 개인전을 개최했다. 《한국 현대미술의 진단과 제언》(서울), 《한국 신묵회 대만 원묵화회 정기 교류전》(서울, 타이페이), 《용동묵호 국제 당대 교류전》(대만)에 참여했으며 그 외 서울, 대만, 중국 등에서 열린 단체전 약 300여회에 참여하였다.
8. 이승은
사람의 고유한 존재가치를 일깨우는 자연의 질서를 작품에 담아내는 이승은 작가는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및 동대학원에서 동양화 전공 학사,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우석갤러리(2023), 갤러리 도스(2021)에서 개인전을 열었으며, 지아가가갤러리(2024), 분당서울대학교병원(2023), 한전아트센터갤러리(2023), 보름산미술관(2021) 등에서 개최한 단체전에 참여했다. 2022년 서울문화재단x도미노피자 주최 시각예술 신진작가 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 이승은 작가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9. 정서원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 사이의 균형을 찾기 위해 일종의 ‘경계 공간’을 탐구하는 정서원 작가는 추계예술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를 졸업했으며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서 동양화과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박사과정에 재학중이다. 갤러리 부연(2021), 갤러리 아리아(2021)에서 개인전을 열었으며 금산갤러리(2022), 레이프로젝트(2022), 갤러리 가비(2022), 서울대학교 관악사(2021) 등에서 열린 단체전에 참여하였다. 2021년 제 2회 INSAF 평론가상을 수상했다.
▶ 정서원 작가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10. 조해리
전통 소리를 시각 이미지로 환원하는 작업 방식을 보여주는 조해리 작가는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학사과정 졸업 후 Chelsea College of Art and Design (U.K.)에서 MA Fine Art 석사과정을 졸업했으며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전공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갤러리 도스(2023), 아트스페이스퀄리아(2022) 등 총 16회의 개인전을 열었으며 국내외에서 개최된 80여회 단체전에 참여하였다. 2016년, 2017년에 ‘코카-콜라’ 한정판 패키지 디자인에 작품이 활용되었으며 2022년 제13회 겸재정선미술관 겸재 내일의 작가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 조해리 작가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11. 주낙준
작가로서 가장 근원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변화무쌍한 자연의 형상에서 찾아내 이를 보여주는 작가 주낙준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학사, 석사 과정 졸업 후 현재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갤러리 도스(2021), 복합문화공간 포레리움(2023)에서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GS건설 갤러리 시선(2024) 공모에 당선되어 2인전을 개최했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2019), 영아트갤러리(2022), 아트스페이스 퀄리아(2023), 한벽원갤러리(2023), 종로문화재단 상촌재(2023), 한전아트센터(2023) 등에서 열린 단체전에 참여하였다. 2023년 서리풀 ART for ART대상전에서 입선했다.
· 관람안내
: 화-토 10am-6pm (일, 월, 공휴일 휴관)
: 무료관람
: 서울아트센터 3층 도암갤러리
전시전경
©2024 사이와 차이, 도암갤러리(photo by Ahina Archive 정효섭)
©2024 사이와 차이, 도암갤러리(photo by Ahina Archive 정효섭)
©2024 사이와 차이, 도암갤러리(photo by Ahina Archive 정효섭)
©2024 사이와 차이, 도암갤러리(photo by Ahina Archive 정효섭)
©2024 사이와 차이, 도암갤러리(photo by Ahina Archive 정효섭)
©2024 사이와 차이, 도암갤러리(photo by Ahina Archive 정효섭)
©2024 사이와 차이, 도암갤러리(photo by Ahina Archive 정효섭)
프라이빗 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