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암갤러리 콘서트 안내

도암 11시 토요콘서트 / 2024.6.29. 토 AM 11:00

관리자
2024-06-09
조회수 715


PROGRAM


Robert Schumann

Märchenbilder Op. 113 (1851)


1. Nicht schnell, Moderato 

2. Lebhaft, Vivo 

3. Rasch, Presto 

4. Langsam, mit 

    melancholischem Ausdruck, 

    Lento melancolico 


비올라 최은식 / 피아노 윤철희 


— — —


Frank Bridge

Lament for Two Violas (1912)


비올라 최은식 / 비올라 권오현


— — —


William Walton

Viola concerto (1929)


1.Andante comodo


비올라 김서현


— — —


Johannes Brahms (1886)

Sonata for Viola and Piano Op.120, No.2 in E-flat major


1. Allegro amabile

2. Allegro appassionato

3. Andante con moto – Allegro


비올라 최은식 / 피아노 윤철희





ARTIST


최은식 

비올라


최은식은 서울예고 재학 중  Los Angeles 필하모닉의 수석 비올리스트 헤이치로 오야마 에게 발탁되어 도미, 커티스 음악원을 거쳐 뉴잉글랜드 콘서바토리 에서 수학 한 후 뉴잉글랜드 콘서바토리 와 신시네티 컬리지 오브 뮤직 콘서바토리의 교수로 재직하였다. 미국 보로메오 4중주단 창단 멤버로서 뉴욕 영 콘서트 아티스트 콩쿠르와 프랑스 에비앙 콩쿠르에서 현악4중주 부문에서 우승하였으며, 에머넷  현악 4중주단 멤버로도 활동하였다. 


미국 링컨센터와 케네디센터, 영국의 위그모어홀, 일본 산토리홀 등에서 연주를 비롯, 남아메리카, 캐나다, 러시아, 유럽 각국 등지에서 연주회를 가졌고, L.A. 디즈니홀 개관기념 연주회에 초청되어 에사 페카 살로넨 지휘로 연주했다. 미국 산타페와 리호야 페스티벌, 이태리의 스폴레토 페스티벌, 캐나다 벤쿠버와 다 아가시즈 챔버 뮤직 페스티벌, 프랑스 몽펠리에 와 쿠셔벨 페스티벌, 중국의 베이징 뮤직 페스티벌 등에서 초청 연주자로 연주하였다.


국내에서는 광복50주년기념 연주회에 초청받아 내한 연주하였으며, 1997~2001년 한국을 빛낸 7인의 음악가에 선정되어 연주하였다. 부산시립교향악단, 충남 교향악단, 울산시향과 협연, 서울 스프링 페스티벌 과 여러 자선단체 음악회에서 재능기부에 참여하고 있다.


현재 Just Vivace Festival, 전주 실내악 페스티벌 예술 감독이며,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윤철희 

피아노


윤철희는 10세에 부산시립교향악단과 모차르트 협주곡으로 데뷔하였으며, 선화예고 재학 시 중앙음악콩쿠르 입상, 부산MBC콩쿠르 1위 입상 등으로 주목을 받았고, 서울대 음대 재학 중 도독하여 프라이부르크 국립음대, 트로싱엔 국립음대에서 전문연주자과정 및 최 고연주자과정을 졸업하였다.


코리안 심포니, 강남 심포니, 원주시향, 울산시향, 포항시향, 창원시향, 군산시향, 고양필하모닉, 군포프라임필, 크누아오케스트라등 국내 거의 모든 오케스트라와 연주 했고 야나체크, 북체코 오케스트라, 멕시코 오케스트라, 2018 미국 카네기 홀에서 모차르트 협주곡 연주 등 국외에서도 많은 연주 활동을 하고 있다.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 5개, 전곡을 지휘와 피아노를 동시에 연주하여 피아노 연주와 지휘자의 면모를 다양하게 보여주어 큰 감동을 주었다.


그 외에도 국내, 국제콩쿨 심사위원으로 미국 애리조나 뵈젠도르퍼 국제콩쿠르, 프랑스 파리 깜뿌스 국제콩쿠르에 심사위원으로 초청받아 활동하였으며, 울산대학교 음악대학 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 국민대학교 예술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RISING STAR


김서현 

비올라


선화예술중학교 3학년에 재학중이며 일찍이 한음영재, 음악교육신문사, 김포필하모닉, 이든, 예음SEA등 다수의 콩쿠르에 입상하였으며 2022년 광진문화재단 나루 영아티스트로 선발된이후 하나아트 북서울 꿈의 숲 콘서트, 시티필하모닉오케스트라 영산아트홀 협연등 활발한 연주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이에 그치지않고 2023년 한예콩쿠르 2등, 선화예중 실기우수, 2024년 제29회 음악춘추콩쿠르 2등, 소리얼필하모닉오케스트라 콩쿠르 1등,  제2회 서초구전국음악콩쿠르 현악부문 서초구 의장상을 수상하는등 주목받는 라이징스타로 발돋음하고 있다. 





DIRECTOR


음악감독 백향민

Hyang Min Baek


따뜻한 소리와 울림으로 무대를 휘감는 트럼페터 백향민은 18세에 처음 트럼펫을 접하고 그 매력에 빠져 뒤늦게 음악가의 길에 뛰어들었다. 진은준, 김완선, 서지훈, Alexandre Baty, 성재창, Andreas Öttl 에게 사사 받은 백향민은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학사를 트럼펫 최초로 1년 조기졸업 하였고 동대학원 석사과정을 마친 후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국립음대에서 최고 연주자과정에 만점으로 수석 입학 및 만점으로 수석 졸업하였다.

한국예술종합학교 2학년 재학 당시 2013년 제주국제콩쿠르 결선에 진출하며 세계무대에서의 가능성을 보였으며 2018년 9월 트럼펫 국제 콩쿠르로는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독일 ARD 국제 콩쿠르'에 한국인 트럼펫 최초로 본선 2라운드까지 진출하며 세계무대에 자신의 이름을 알렸고, 2018년 11월 이탈리아 Porcia 국제 금관콩쿠르에서 역시 한국인 최초로 Semi-Final에 진출하며 국제무대에 자신의 이름을 당당히 내밀었다. 2019년에는 일본 하마마쓰 Yamaha Festival 'Premium Concert Audition' 에서 우승하여 일본 데뷔 독주를 가진 바 있다. 독주와 오케스트라 뿐만 아니라 실내악 분야까지 도전하며 Ventus Brass Quintet의 리더로 2023년 2월에 아트실비아 실내악 오디션 우승을, 8월에 제주국제관악콩쿠르에서 한국 국적팀 최초로 우승을 이루었다.

국내 활동으로는 2014년 금호영아티스트에 선발되어 금호 영아티스트 독주회를 통해 데뷔 무대를 가진 그는 과천시립교향악단, 제주시립교향악단, 한경Arte필하모닉, 국립합창단, 한국예술종합학교 오케스트라, 육군 군악대 등과 다수의 협연무대를 통해 대중들에게 이름을 알렸으며 2013년부터 예술의전당 페스티벌 오케스트라 단원, 서울시 유스오케스트라단 수석,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객원수석, 한경Arte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트럼펫 수석 연주자로 활동하며 성장하였고 2021년 3월부터는 과천시립교향악단 수석으로 선발되며 본격 오케스트라 수석 주자로서 활동을 시작하여 2021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와 무소르그스키- 전람회 그림 정기연주회, 2021 말러 6번, 2022 말러 5번 교향곡 연주에서 호평이 이어졌고 2021 2022 통영국제음악제 페스티벌 오케스트라 객원수석, 서울시립교향악단 객원수석 등 초청 받으며 국내 최고의 오케스트라 수석 연주자로 경험을 쌓으며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2022년 부터는 과천문화재단에서 기획한 백향민의 수요음감회 음악감독으로 선정되며 한국예술종합학교 이석준(호른교수) 이예린(플룻 교수), 서울대학교 성재창(트럼펫 교수), 바이올리니스트 김재원(프랑스 툴루즈 카피툴 국립오케스트라 악장), 김유빈(베를린 콘체르토하우스 플룻 수석, 독일ARD 콩쿨 우승) 등 여러 훌륭한 연주자들과 함께 과천을 대표하는 공연으로 만들고 있다.

현재 툴뮤직 소속 아티스트 및 Bach Conn-Selmer 아티스트, 코리안 신포니에타 음악감독, 벤투스 브라스퀸텟, 클래식아츠 앙상블 리더, 에투알 트럼펫 앙상블, 오르디 앙상블 멤버로 활동중인 백향민은 연주 활동 뿐 아니라 교육 활동에도 열정을 보이고 있으며 한국예술종합학교와 숙명여자대학교 겸임교수 역임, 서울교육대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 선화예술고등학교, 예원학교에 출강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RESIDENT ARTIST


상주아티스트 권오현

Oh Hyun Kwon


비올리스트 권오현은 예원학교, 서울예고를 거쳐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졸업하였다. 이후, 도미하여 뉴잉글랜드 컨서바토리 (New England Conservatory)에서 실기 장학생으로 석사(Master of Mu- sic)과정을 졸업하였다. 전액장학금으로 합격한 럿걸스 음악대학 (Rutgers, University Mason Gross School of the Art)에서 박사(Doctor of Musical Arts) 과정을 수료하였으며, 올해 졸업 예정이다.

일찍이 세계일보, 바로크콩쿠르, 음악저널, 음악춘추, 경희대학교콩쿨, 음악교육신문사 1등 등 국내 콩쿠르를 휩쓸었고, 금호영아티스트, 금호영체임버로 선발되며 국내에서 연주실력을 인정받았다. Mason Gross Chamber Music Competition, American Protégé International Piano & Strings Competition, Festival Filadelfia The Musical City of Europe0|| Grand Prize 를 받아 세계무대에서 또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솔리스트로서는 CN Philharmonic 오디션에 발탁됨으로써 카네기 젠켈홀에서 미국 데뷔무대를 가지게 되었다. 이후 연달아 New Brunswick Performing Art Center에서 비올리스트 최초로 협연하였으며, Rutgers Concerto Competition에서 우승하여 Rutgers Symphony Orchestra 와 협연하였고, 용인필하모닉오케스트라, 루마니아 오케스트라, 한국원로교향악단, KT 체임버오케스트라, KBS국악관현악단, 프라임 필하모닉오케스트라, 소리얼오케스트라, 서울대학교 챔버오케스트라 등 수많은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다.

앙상블에도 남다른 애정을 가지고 있는 그녀는 한국에서 바로크콩쿠르 실내악 부문 전체 1위에 입상하여 실력을 인정받았으며, 금호영챔버 및 유중아트홀 라이징스타 시리즈 챔버 콘서트, 서울대학교 MoA 초청연주, 하나문화재단 연주, PLZ 페스티벌, 여수국제음악제,대관령음악제 등에서 뛰어난 연주를 선보였다. 세계적인 첼리스트 Laurence Lesser의 지도아래 New England Conservatory 갈라콘서트에 추천되어 연주하였으며, Harlem Quartet의 객원멤버로 함께 연주하고, Helix New Music Ensemble의 멤버로 수많은 현대음악을 세계무대에서 연주하였으며 Heifetz Music Festi- val에서 교수진들과 함께 연주하였다.

현재 수원대학교 객원교수, 가천대학교, 추계예술대학교, 예원, 서울예고, 선화예중, 계원예중, 계원예고에 출강하여 후학 양성에 힘쓰는 한편 서울아트센터 11시 콘서트 상주아티스트, 클래시칸 앙상블 맴버로 활동하며 관객과 소통하는 무대를 이어가고 있다.




주최 서울아트센터 주관 | (주)클래식아츠 티켓 | VIP석 7만원 R석 5만원 S석 3만원

예매 | interpark 티켓 www.interpark.com 공연문의 070-8095-4866



티켓 구입하기




문의 및 가입안내

070-8095-4866 / classic-arts@naver.com



지금 가입안내 >





1 0

03011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문화로 70

02-2287-0599


SNS

DOAM HALL        


DOAM GALLERY  




Copyright Doam 2024. All rights reserved.